스님의하루

2014.5.28. 수행관제 5,6강 - 대구법당
본문보기

ㅎㅎ

세상은 차별이 적은 쪽으로 가야 합니다. 이것이 개선해 나가는 것이 수행의 한 부분이고 그 일을 수행으로 삼으라는 것입니다. 우리 모두가 행복한 사회 즉 정토를 만드는 일이 수행입니다.<br />스님 감사합니다.

2014-06-16 14:17:02

봄선

신분이 왕자였으니까요. 그런데도 이 인생의 고뇌가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왜 괴로운가 하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근원적인 해결책을 찾아 나섰습니다. 그러므로 부처님의 말씀만이 이 문제를 해결할 그런 답이 될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부처님의 정법, 바른 가르침만이 이 시대를 사는 사람들의 고뇌를 고칠 수 있는 양약이 됩니다. 지금의 시대야말로 부처님의 정법이 꽃을 피울 수 있는 시기입니다...공경의 합장 올립니다..._()_...나무석가모니불!

2014-05-30 12:51:26

주디

스님, 감사합니다.

2014-05-30 12:28:49

달무리

외줄을 탈 때 앞으로 가야한다는 걸 알면서도~치우치게된다는 말씀이 와 닿습니다~
늘 이원성에 빠져서 좋고싫음의 분별심에서 허우적대는 제 자신을 구해보겠습니다~

2014-05-30 11:55:11

늘보키

말입니다. 손가락이 굵어 쓰는 중에 등록을 누르네요. 죄송합니다. 일과 수행이 별개가 아님을 알고..저도 봉사에 적극 참여하겠습니다. 오늘도 스님의 법문을 양식 삼아 행복하게 보내겠습니다. 스승님 감사합니다.

2014-05-30 10:37:16

정명화

천상천하 유아독존 삼계개고 아당인지......이 말이 그런 뜻이었는지 몰랐습니다. 성구보리 하화중생...
참으로 아름다운 말입

2014-05-30 10:33:41

박보살

이분법적 사고에서 벗어나라.....옳고 그르고. 크고 작고...다 마음이 짓는 허상임을 봅니다. 스님, 감사합니다.

2014-05-30 10:27:29

늘보키

행복했습니다. 스님의 법문을 듣는 동안, 아, 나와는 차원이 다른 삶을 사시는구나....마음속 깊이 존경의 마음이 올라왔습니다. 일과 수행의 통일..봉사자들에게도 감사드립니다.

2014-05-30 10:2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