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원하시는 검색어를 입력해 주세요
2월17일 일요일.
충주 호암체육관에서 제7차 천일결사 8차 백일기도 입재식이 있었다.
2013년도 첫 입재식이 열리는 일요일, 날씨도 포근했다.
해외 활동가 20여명을 포함 전국에서 2,135명의 정토행자들이 참가했다.
반가운 마음으로 서로의 안부를 물으며 인사했다.
각 지역 참가 정토행자들의 소개로 오전 행사가 시작되었다.
* 7차 백일기도 실천과제 결과를 발표하는 대전정토회 강명숙님.
* 일산정토법당 백지인님의 반주로 김해정토법당 이지영님의 음성공양.
곡명은 '해탈'

정토행자의 진솔한 삶의 이야기가 담긴 수행사례담을 듣는 시간

* 대전정토회 김종년님
* 진주정토법당의 정순점님
웃음과 감동을 주는 수행 사례담 듣는 시간은 언제나
도반들의 마음을 하나로 모으는 순간이다.
* 제7차 천일결사 7차 백일기도 회향법문
'부처님의 가르침을 바르게 이해하고 실천할때 생활의 변화 완전한 자유를 얻는 기적이 일어난다.
세상이 아무리 시끄럽고 혼란스러워도 스스로의 힘으로 타인을 돕는 자신의 활동에 긍정적인 마음을 갖는것이 정토행자의 삶이다.
핵실험, 로켓 발사등 뉴스에 가려진 북한 주민의 굶주림과 고통을 외면해서는 안된다는 법륜 스님의 말씀. 가슴깊이 새겼다.
* 점심공양 후
‘어쿠스틱 날치기 프로젝트’ 밴드의 노래
'10센티 – 사랑은 은하수 다방에서'로 2부 행사의 문을 열었다.
* 신규입재자 결의식
총 347명이 부처님께 귀의하여 부처님 가르침대로 게으름에 빠지지 않고, 꾸준히 수행정진 하기로 원을 세웠다.
*이어서 아름다운 화음을 통해
2013년 하나 되어 힘차게 시작하자는 의미에서 열린 합창대회!
총 4팀이 갈고 닦은 실력을 발휘했다.
* 수도권 분당정토법당 - 메들리
* 영남 대구정토회 직능반 -‘내가 만일'
* 중부 대전정토회- ‘고향의 봄
* 전국청년대학생정토회 - ‘정토 멋쟁이’
치열한 경쟁끝에 몸배바지 차림으로 아름다운 화음을 들려준
분당정토법당이 하모니상을 수상했다.
* 모두가 설레이는 마음으로 기다리던
2012년도를 빛낸 자랑스런 정토행자상 시상식
2012년도 한 해 동안 각 부분에서 두드러지게 모범적으로 활동한
사람, 단체에게
복지 ․ 환경 ․ 통일 ․ 포교 ․ 정진 ․ 보시. 정토행자상 총 여덟 개 부문에 걸쳐 시상되었다.

* 영광의 수상자들
복지상 ( 대구정토회 최진연님 )
환경상 ( 서울정토회 환경팀 )
통일상 ( 대구정토회 전병찬님 )
포교상 ( 경북지부 장금옥님 )
정진상 ( 경남지부 안병주님 )
보시상 ( 일산정토법당 노회윤님 )
특별상 ( 청년정토회 김제동님, 울산정토회, 진주정토법당 임연희님 )
김제동님의 특별상 수상은 대학생 정토회 이효상님이 대신 수상했다.
* 수행/보시/봉사의 모든 면에서 정토행자의 귀감이 된 정토행자에게
수여 되는 정토행자상 꽃중의 꽃 하이라이트 2012년 정토행자상 대상
그 주인공은 서울 정토회 공양간에서 9년동안
매일 수백 명의 공양 및 각종 행사의 공양과 김장 준비 등 서울정토회의 큰살림을 수행의 힘으로 씩씩하고 묵묵하게 해 오신 구언년님이 수상했다.
" 처음 공양간 봉사 배정이 되서 봉사할때 공양간을 혼자 들어가는데 겁이 났어요. 나는 혼자 하는것을 많이 겁내 하는구나 알아가면서 3년을 했습니다. 그뒤 3년은 할사람이 없다고 거의 떠밀리다시피 해서 했는데 그 3년이 끝나는 시점에서 왜 나는 지금껏 남들에게 떠밀려서만 했을까?
내가 스스로 원해서 한번 해보자는 마음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3년은 스스로 선택해서 했습니다. 이렇게 9년동안 공양간에서 봉사 할 수 있었던 것은 많은 도반들의 도움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습니다. 고맙습니다."
수상소감을 도반의 공덕으로 돌리는 구언년님의 얘기는 우리들에게 더욱더 커다란 감동을 주었다.
' 불교인과 비 불교인의 차이점이 과연 우리에게 있는가 스스로의 삶을 되돌아보고 법을 전하는 수행자로서의 삶을 살기위해
실천할 수 있는 것을 정해서 실천해 보는 100일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7-8차 명심문 '나는 법을 전하는 수행자 입니다' 를 토대로
참 불자되기 운동을 같이 해보자는 취지의 말씀을 8차 백일기도 입재 법문으로 해 주셨다.
명심문을 언제나 마음속에 담고 실천하는 생활을 한 뒤
100일 후에 다시 만날것을 기약하며 집으로 돌아가는 정토행자들의 얼굴에는 또 다른 시작에의 다짐이 묻어났다.